Svoboda | Graniru | BBC Russia | Golosameriki | Facebook

바단조(-短調)는 (F) 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단음계조성이다. 음계는 기본적으로 F, G, A♭, B♭, C, D♭, E♭로 되어있다.

바단조
{ \magnifyStaff #3/2 \omit Score.TimeSignature \key f \minor s16 \clef F \key f \minor s^"" }
다른 언어 이름
영어F minor
독일어F-moll
프랑스어Fa mineur
이탈리아어Fa minore
관계조
나란한조내림가장조
같은으뜸조바장조
딸림조다단조
버금딸림조내림나단조
구성음
F, G, A, B, C, D, E

음계와 화음 종류

편집

자연단음계, 화성단음계, 가락단음계는 다음과 같다.

 
 
 

이 조성의 음악

편집

바단조의 유명한 작품으로는 베토벤의 열정 소나타, 쇼팽의 피아노 협주곡 2번, 발라드 4번, 하이든의 교향곡 49번, 라 파시오네, 차이코프스키의 교향곡 4번 등이 있다.

글렌 굴드(Glenn Gould)는 자신이 어떤 조성이라도 될 수 있다면 바단조가 될 것이라고 말한 적이 있다. 왜냐하면 "복잡함과 안정감의 중간, 직립과 음탕함, 회색과 진한 색조 사이... 어느 정도 경사가 있다"는 것 때문이다.[1]

헤르만 폰 헬름홀츠(Hermann von Helmholtz)는 바단조를 비참하고 우울하다고 묘사한 적이 있다. 크리스티안 슈바르트(Christian Schubart)는 이 조성을 "깊은 우울증, 장례적 애도, 비참한 신음, 무덤에 대한 그리움"으로 묘사했다.[2]

유명 작품

편집

그 외

편집

바로 아래 문단의 조성, 표기가 복잡한 올림마단조이명동조로써 그 조성을 대체할 경우에도 바단조가 사용될 수 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바로 아래 문단 참고 바람.

올림마단조

편집

올림마단조(-短調)는 올림마(E♯) 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이론적의 조성 중 하나로, 기본적으로 E♯, F , G♯, A♯, B♯, C♯, D♯로 되어있는 단음계이다. (나란한조올림사장조와 마찬가지로,) 조표에는 총 8개의 올림표가 있으며, 이는 겹올림표 1개와 기본 올림표 6개로 되어있다. 이 조성은 조표에 올림표가 총 7개 있는 올림가단조에서 바로 딸림조이다. 올림마단조의 이명동조로는 바단조가 있으며, 바단조와 서로 이명동조 관계다. 다만, 일반적으로 표기가 간단한 이명동조인 바단조로 대체한다. 이명동조인 바단조는 총 4개의 내림표만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올림마단조보다 선호된다. 올림마단조는 이명동조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도 직접적인 조표는 사용되지 않았고, 바흐의 전주곡과 푸가 3번의 17~22마디에서 일시적으로 이 조성이 사용되었다.

올림마단조
 

대체 표기법
 
다른 언어 이름
영어E-sharp minor
독일어Eis-moll
프랑스어Mi dièse mineur
관계조
나란한조올림사장조 (이론적)
이명동조: 내림가장조
같은으뜸조올림마장조 (이론적)
이명동조: 바장조
딸림조올림나단조 (이론적)
이명동조: 다단조
버금딸림조올림가단조
이명동조바단조
구성음
E, F , G, A, B, C, D

올림마단조의 자연단음계, 화성단음계, 가락단음계는 다음과 같다.

 
 
 

올림마단조 음계의 화음 종류는 다음과 같다.

한편, 19-TET, 31-TET의 경우처럼 E과 F가 서로 다른 음을 내어 올림마단조와 바단조가 서로 이명동조 관계에서 벗어나는 음률에선 이 조성이 그대로 사용되어야 할 수 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Cathering Meng, Tonight's the Night (Apostrophe Books, 2007): 21
  2. “Musical Key Character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