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voboda | Graniru | BBC Russia | Golosameriki | Facebook
본문으로 이동

바그라티온 작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바그라티온 작전
동부 전선의 일부

바그라티온 작전 경과 지도
날짜1944년 6월 22일 ~ 8월 19일
장소
소련 및 동부 폴란드
결과

소련의 결정적 승리

교전국
나치 독일 나치 독일
지휘관
나치 독일 에른스트 부슈
  • 나치 독일 발터 모델
  • 나치 독일 한스 요르단
  • 나치 독일 게오르크 한스 라인하르트
  • 나치 독일 쿠르트 폰 티펠슈키흐
  • 나치 독일 발터 바이스
  • 소련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
  • 소련 게오르기 주코프
  • 소련 이반 바그라먄
  • 소련 이반 체르냐홉스키
  • 소련 콘스탄틴 로코솝스키
  • 소련 마트베이 자하로프
  • 병력
    849,000여 명
    후방 전선군 486,493명
    탱크 800대
    돌격포 530대
    화포 10,090문
    항공기 1,300기
    2,331,700명
    폴란드 증원군 79,900명
    탱크 2,715대
    돌격포 1,355대
    화포 24,363문
    항공기 5,327기
    피해 규모
    전사 및 실종 250,000여명
    부상 200,000여 명
    포로 150,000여 명
    총 사상자 600,000여명
    탱크 및 돌격포 1,000대 손실
    중포 및 항공기 1,700대 손실
    전사 및 실종 180,040명
    부상 590,848명
    총 사상자 770,888명
    탱크 및 돌격포 2,957대 손실
    중포 2,447문 손실
    항공기 822대 격추

    바그라티온 작전(러시아어: Oперация Багратион, Operatsiya Bagration)은 1944년 폴란드벨라루스에 포진해 있던 독일군을 붕괴시키기 위한 소련군의 하계 대공세의 암호명이다.

    이 작전이 성공해 바르바로사 작전이래 벨라루스를 3년간 점령하고 있던 독일 중앙집단군은 붕괴되었다.

    이 작전은 18세기 ~ 19세기조지아 태생의 러시아 제국 장군이자 러시아를 침략한 나폴레옹군과 싸우다가 보로디노 전투에서 치명상을 입고 전사한 표트르 바그라티온의 이름을 따 붙여진 것이다. 작전 개시일은 본래 6월 15일에서 6월 20일었으나 6월 22일로 바뀌었다. 이 날은 3년 전 독일의 바르바로사 작전 개시일과 같은 날이다.

    작전 제1단계

    [편집]

    본래 작전 개시일은 6월 15일에서 20일이었으나 보급준비와 기밀유지 문제로 인해 계속 지연되었다. 그래서 스탈린은 아예 1941년 6월 22일에 벌어졌던 바르바로사 작전을 보복한다는 의미에서 작전 개시일을 6월 22일로 정하였다. 남쪽에서 북쪽 순으로 제1벨라루스, 제2벨라루스, 제3벨라루스, 제1발트 등 4개 전선군이 배치되어 1000km에 걸친 전선에서 총 189개 사단, 200만명의 대병력을 동원하였다. 또한 공군력에 있어서도 소련군은 독일군을 6배로 압도하였다.

    6월 22일 새벽 맹렬한 포격을 개시한 후, 소련군 병력은 세 방향에서 독일 중앙집단군을 일제히 공격하기 시작했다. 이는 독일군이 예측한 남쪽 측면의 공세가 아니라, 정면을 강타하는 공격이었다. 공군과 포병의 엄호를 받으면서 소련군 전차와 보병은 독일군 전선을 돌파하여 깊숙히 후방으로 침투했고, 수적으로 열세인 독일군은 각지에서 분단, 포위되었다.

    이 작전에서 소련군의 전체적인 지도는 최고지휘관 대리인 주코프 원수와 총참모장 바실레프스키 원수가 맡았다. 소련군의 지휘관들도 그동안 많은 실전경험을 쌓아왔고, 유사시에 재량하의 임기응변도 허가받을 정도로 실력을 키워 전차, 공군, 포병, 공병의 유기적인 협동공세를 펴는데 전혀 어려움이 없었다. 또한 독일군의 신형 전차인 판터티거에 맞서 T-34-85IS-2 전차를 대거 투입하였다.

    독일 중앙집단군 사령부는 이런 상황에서도 당초의 예측을 고수하였다. 소련군의 공세가 단순한 양동작전이라고 판단하여 당초에 설정된 거점을 지키여 소련군의 공세에 맞서는 방침을 내렸다. 이런 방침때문에 독일군의 각 부대는 포위되어 소련 포병과 공군의 맹공격을 당했고, 급속히 괴멸되었다. 그제서야 소련군의 주공이 정면이라는 것을 안 중앙집단군 사령관 에른스트 부슈원수는 27일에 히틀러에게 철수 허가를 청원했으나, 망연자실한 히틀러는 다음날 부슈를 해임하고, 북우크라이나 집단군의 모델 원수를 후임 사령관으로 임명하였다. 모델 원수는 수비전에서 명성을 떨쳤으나 현재 상황은 그도 어쩔수 없는 것이었다. 7월 1일, 육군 총참모장인 쿠르트 자이츨러는 히틀러가 철퇴안을 허가하지 않자 사임을 했고, 7월 21일에 구데리안 이 새로운 육군 총참모장에 임명되었다.

    비쳅스크

    [편집]

    독일군의 지휘부가 이렇게 혼란에 빠져있는 동안 중앙집단군은 급속도로 붕괴되었다. 또한 민스크-모스크바 고속도로의 북쪽에 있는 비쳅스크 정면에서는 홉하네스 바그라미안 대장의 제1 발트 전선군과 이반 체르냐홉스키 대장의 제3 벨라루스 전선군이 독일 게오르크한스 라인하르트 상급대장의 제3기갑군을 협격하여 6월 27일에는 3만명의 독일 제53군단을 포위망에서 괴멸시켰다. 공백지인 드비나 강 연안에서도 소련 제2친위군이 발트해 방면으로 급속도로 진격하여 7월 13일에는 리투아니아의 수도 빌니우스를 탈환하였다.

    마힐료우

    [편집]

    중앙집단군의 정면인 마힐료우에서는 게오르기 자하로프 대장의 제2 벨라루스 전선군이 오르샤를 확보한 제3벨라루스 정면군의 좌익에서 협동하여 6월 28일 마힐료우를 탈환하고, 민스크 공쪽에서 독일 쿠르트 폰 티펠스키르히 대장의 제4군을 포위하여(티펠스키르히 대장은 비행기 사고로 독일로 이송되었다.) 후임 사령관인 빈센트 뮐러 중장으로부터 7월 11일 항복을 받았다. 이때 전사자는 4만명이고, 포로는 6만명이었다.

    보브루이스크

    [편집]

    또한 남부의 베레지나 강 맞은편에 있는 바브루이스크에서도 로코소프스키가 지휘하는 제1벨라루스 전선군이 스탈린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습지에 통나무를 깔고 그위로 전차부대를 움직이는 대담한 전법으로 양방향으로부터 공세를 펼쳤다. 한스 요르단(Hans Jordan) 대장이 지휘하는 독일 제9군은 프리피아트 습지대로 쫓겨갔다가 7월 5일에 항복했다. 독일군의 피해는 전사 4만명, 포로 2만명이었다.

    작전 제2단계

    [편집]

    민스크 해방

    [편집]

    이렇게 세 방향에서 각각 공세를 전개한 소련군 제1, 제2, 제3 벨라루스 전선군은 계획대로 민스크에서 합류하였고, 7월 4일에 3년째 독일군에 점령중이던 민스크를 해방시켰다.

    남북으로부터 공세

    [편집]

    주무대인 벨라루스의 남쪽에서는 코네프 원수가 지휘하는 남부의 제1우크라이나 전선군은 갈리시아 방면에 주둔중이던 고트하르트 하인리치대장의 독일 제1 기갑군 및 발터 네링 대장의 제4 기갑군이 벨라루스 방면의 지원에 나서지 못하도록 르보프-산도미에르즈 공세를 시작하였다. 바실리 고르도프 중장의 소련군 제3친위군은 독일군 제13군 2만5천 명을 포위했다. 독일군은 중화기를 거의 포기하고 간신히 탈출하였다. 이어 7월 27일에 르보프를 해방시키고 소련-폴란드 국경을 넘어 8월 1일에는 루블린을 점령하였다. 이로써 카르파티아 산맥 동쪽의 독일군은 모두 축출되었다.

    한편 벨라루스의 북쪽에서는 바그리미얀 대장의 제1발트 전선군이 샤울레이 공세를 개시하여 7월 말에는 라트비아리가에 도달하였고, 독일 중앙집단군과 북방집단군을 단절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어 8월에는 안드레이 예레멘코 상급대장의 제2발트 전선군과 이반 말레니코프 대장의 제3 발트전선군, 레오니트 고보로프 대장의 레닌그라드 전선군이 에스토니아를 향한 공세를 시작하였다.

    페르디난트 쇠르너 대장의 독일 북방집단군은 무장친위대 그로스 도이칠란트 사단과 중순양함 프린츠 오이겐의 지원을 받아 리투아니아의 젤가바를 탈환하여 다시 중앙집단군과 연결되었다. 그러나 제1발트 전선군에 속한 볼스키 중장의 제5친위전차군에 의해 10월 10일 메멜에서 포위당해 독일 제16, 제18군은 동프로이센과 단절되었고 쿠를란트 반도에서 고립되었다. 히틀러는 북부집단군의 잔해를 쿠를란트 집단군으로 재편하여 로타르 렌둘릭 대장을 사령관으로 임명하였다. 이곳은 U보트 기지였기 때문에 독일로서는 쉽게 포기할 수 없는 곳이었다. 쿠를란트 집단군은 포위 중에서도 해상보급으로 연명하면서 종전까지 항복하지 않고 버텼다.

    작전 제3단계

    [편집]

    중앙집단군을 격파하고 민스크에서 합류한 제1, 제2 벨라루스 전선군은 중단없이 계속 진격을 하여 7월 13일에는 빌니우스-핀스크까지 이르렀다. 7월 18일에는 제1벨라루스 전선군에 속한 제28군이 전쟁 전의 독일-소련의 국경선이었던 브레스트-리토프스크를 점령하였고, 부그강을 건너 폴란드에 입성하였다. 28일에는 카우나스-루블린의 전선을 형성하고, 교두보를 구축하였다. 8월 초순에는 제1친위 전차군, 제8 친위군(스탈린그라드 전투의 주역부대인 제62군이 개편된 부대), 제70군으로 이루어진 정예부대가 바르샤바의 맞은편의 비스와강에 도달하였다. 그러나 교량은 파괴되었고, 급속도의 전진 때문에 보급이 곤란한데다가 강 너머에서는 독일 중앙집단군이 재편되어 강한 저항선을 형성했기 때문에 소련군은 더 이상 전진하지 않고 멈추었다.

    소련군은 5주간 700km를 전진하였고, 독일군의 기둥뿌리를 빼앗는 전격전을 성공시켰다. 이는 1930년대 완성한 소련군의 종심작전이론의 확실한 구현이었다. 독일군의 발표에서도 25만명의 전사자와 11만명이 넘는 포로가 나타나는 대타격을 주었고, 동부전선의 승부를 사실상 확정짓었다. 이 작전의 경이적인 성공때문에 냉전시절 서방국들은 소련군의 전력에 크게 위협을 느꼈다.

    각주

    [편집]
    1. Imperial War Museum (2024년 7월 3일). “How the Soviets DESTROYED Army Group Centre”. 《유튜브. 2024년 7월 28일에 확인함. 
    2. Reynolds, David (2014년 6월 21일). “The other D-day – and the onset of Cold War”. 《가디언》. 2024년 7월 28일에 확인함. 
    3. Robert Forczyk. Warsaw 1944; Poland’s big for freedom. Osprey Publishing, 2009.

    외부 링크

    [편집]
    국제국가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