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voboda | Graniru | BBC Russia | Golosameriki | Facebook
본문으로 이동

암펠로데스모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암펠로데스모스

생물 분류ℹ️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미분류): 외떡잎식물군
(미분류): 닭의장풀군
목: 벼목
과: 벼과
아과: 포아풀아과
족: 암펠로데스모스족
Ampelodesmeae
Tutin, 1978
속: 암펠로데스모스속
Ampelodesmos
Link, 1827
종: 암펠로데스모스
학명
Ampelodesmos mauritanicus
(Poir.) T.Durand & Schinz, 1894

학명이명
이명 목록
  • Ampelodesmos ampelodesmos (Cirillo) Kerguélen
  • Ampelodesmos bicolor (Poir.) Kunth
  • Ampelodesmos effusus Steud.
  • Ampelodesmos festucoides (Desf.) Steud.
  • Ampelodesmos mauritanicus var. bicolor (Poir.) Fiori
  • Ampelodesmos tenax (Vahl) Link
  • Ampelodonax bicolor (Poir.) Lojac.
  • Arundo ampelodesmos Cirillo
  • Arundo bicolor Poir.
  • Arundo biflora Lam.
  • Arundo festucoides Desf.
  • Arundo festucoides f. grandiflora Pau
  • Arundo mauritanica Poir.
  • Arundo pliniana var. mauritanica (Poir.) Parl.
  • Arundo tenax Vahl
  • Avena festucoides (Desf.) Raspail
  • Calamagrostis bicolor J.F.Gmel.
  • Deyeuxia arundinacea P.Beauv.
  • Donax ampelodesmos Schult.
  • Donax bicolor (Poir.) P.Beauv.
  • Donax festucoides (Desf.) P.Beauv.
  • Donax mauritanicus (Poir.) P.Beauv.
  • Donax tenax (Vahl) P.Beauv.
  • Festuca elatior Ucria
  • Stipa mauritanica (Poir.) Columbus & J.P.Sm.

암펠로데스모스(ampelodesmos, 학명: Ampelodesmos mauritanicus 암펠로데스모스 마우리타니쿠스[*])는 포아풀아과단형 암펠로데스모스족(ampelodesmos族, 학명: Ampelodesmeae 암펠로데스메아이[*])의 단형 암펠로데스모스속(ampelodesmos屬, 학명: Ampelodesmos 암펠로데스모스[*])에 속하는 유일한 이다.[1][2][3][4][5][6] 고대에 나래새족산기장족 선조들 사이의 잡종의 일종으로 종분화를 통해 분화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6] 암펠로데스모스는 넓게 군락을 지어 자라는 다년생 다발풀의 일종으로 지중해 지역에서 자생한다. 자생지 분포 지역 외부로 도입되어 관상용으로 자배된다. 원추 꽃차례가 고개를 숙이며 키가 60cm에 달한다. 자생지에서 돗자리와 비, 바느질 실 등의 재료로 사용되었다. 지중해 분지 바깥의 비자생 생태계에서는 외래 침입종이 될 수 있다.[7][8][9] 학명은 "덩굴"(vine)을 의미하는 "암펠로스"(ampelos)와 "묶다"(bond)라는 의미의 "데스모스"(desmos)의 합성어에서 유해했으며, 유래했으며, 그 이유는 과거에 이 식물을 포도 나무 가지를 묶는 데 사용했기 때문이다.

계통 분류[편집]

포아풀아과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10]

포아풀아과

담상이삭풀족

나르두스상족

리게움족

나르두스족

산기장족

브릴키니아족

쌀새족

암펠로데스모스족

나래새족

용수염족

핵심 포아풀아과

숲개보리족

포아풀족

보리상족

리틀레달레아족

참새귀리족

보리족

각주[편집]

  1. Tutin, Thomas Gaskell.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76(4): 369. 1978.
  2. Link, Johann Heinrich Friedrich. Hortus Regius Botanicus Berolinensis 1: 136. 1827.
  3. Durand, Théophile Alexis & Schinz, Hans. Conspectus Florae Africae 5: 874. 1894.
  4. Watson L, Dallwitz MJ. (2008). “The grass genera of the world: descriptions, illustrations, identification, and information retrieval; including synonyms, morphology, anatomy, physiology, phytochemistry, cytology, classification, pathogens, world and local distribution, and references”. 《The Grass Genera of the World》. 2009년 8월 19일에 확인함. 
  5. Kerguélen, Michel François-Jacques 1976. Bulletin de la Société Botanique de France 123(5–6): 319
  6. Soreng, Robert J.; Peterson, Paul M.; Romschenko, Konstantin; Davidse, Gerrit; Zuloaga, Fernando O.; Judziewicz, Emmet J.; Filgueiras, Tarciso S.; Davis, Jerrold I.; Morrone, Osvaldo (2015). “A worldwide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Poaceae (Gramineae)”. 《Journal of Systematics and Evolution》 53 (2): 117–137. doi:10.1111/jse.12150. ISSN 1674-4918. 
  7. Jepson Manual Treatment
  8.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Plants Profile
  9. Food & Agriculture Organization, Corporate Document Repository, The role of Ampelodesmos mauritanicus and fibre plants in central Italy
  10. Soreng, Robert J.; Peterson, Paul M.; Romaschenko, Konstantin; Davidse, Gerrit; Teisher, Jordan K.; Clark, Lynn G.; Barberá, Patricia; Gillespie, Lynn J.; Zuloaga, Fernando O. (2017). “A worldwide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Poaceae (Gramineae) II: An update and a comparison of two 2015 classifications”. 《Journal of Systematics and Evolution》 55 (4): 259–290. doi:10.1111/jse.12262. hdl:10261/240149. ISSN 1674-4918.  오픈 액세스로 게시된 글 - 무료로 읽을 수 있습니다